• /etc/mtab : 현재 마운트된 블록 시스템 정보

  • /etc/fstab :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정적 정보 저장,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고 부팅 시에 마운트할 파티션 정보가 기록

  • eject : 미디어를 해제하고 장치 제거

  • fdisk : 파티션 생성/삭제/타입결정 등의 작업 수행

  • mkfs : 리눅스 파일 시스템 생성

  • mke2fs : ext2, ext3, ext4 타입의 리눅스 파일 시스템 포맷

    • fdisk로 파티션 작업 → mkfs, mke2fs로 파일 시스템 생성
    • -t ext2~ext4 : 파일 시스템 타입 지정
    • -j : 저널링 파일 시스템 ext3으로 생성
  • fsck :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 점검, 대화식 복구

    • /lost+found : fsck에서 사용하는 디렉터리, 손상된 파일을 이 디렉터리로 연결한 뒤에 올를 수정
  • e2fsck : ext2~4 타입의 파일 시스템을 점검/복구

  • xfs_repair : xfs 파일 시스템에 사용되는 점검 도구

  • du(disk usage) : 디렉터리별 디스크 사용량 확인

    • 옵션 -s : 파일들의 전체 크기를 합한 값
    • 옵션 -h : 용량 단위(KB, MB, GB)로 표시
  • df : 시스템에 마운트된 하드 디스크의 남은 용량 확인할 때 사용(분할된 파티션별로 사용량 확인)

    • 옵션 -T : 해당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 유형(type)확인
    • 옵션 -h : 디스크 용량 단위(KB, MB, GB)를 사람이 읽기 쉽게 표기
    • 옵션 -a : 0 블록의 파일 시스템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 시스템을 나타냄
  • quota : 디스크 사용량 제한 및 현재 사용량 확인하는 명령어

  • blkid : 현재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의 UUID와 파일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

  • lsblk : 블록 장치에 대한 정보를 트리 형식으로 보여줌

  • UUID : UUID를 생성하는데 사용, 고유한 식별자임

  • /etc/mounts : 파일 시스템이 실제로 마운트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보여준다

  • /proc/partitions : 현재 시스템에 있는 파티션 정보 제공